Routine

· Routine
AI 레드팀이란? AI Application에서 공격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고 약점을 찾아내어 예방하기 위한 조직입니다. 이 프로세스는 가능한 다양한 침투 전술과 기능 문제로부터 AI 모델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AI 레드팀을 통해 AI 시스템 취약점을 발견하여, 안정성을 강화하고, AI가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기존의 레드팀과 AI 레드팀은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개선이 서로 같은 목표이지만 AI 레드팀은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방식에 차이가 있어 "블랙박스"로 작동하며 이 차이로 시간에 따라 모델이 변화하고 learning data가 공개되어 있지 않아 문제 해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추가로 환각(hallucination), 부정확하고 유해한 정보 제공 등 LLM의 ..
· Routine
Auto-Regressive Large Language Models (AR-LLMs) 하나의 텍스트 토큰 다음에 다른 토큰을 출력 토큰은 단어나 하위단어를 나타냄 인코더/예측기는 수십억 개의 매개변수를 가진 트랜스포머 아키텍처 일반적으로 10억 ~ 5,000억 개의 매개변수 훈련 데이터: 1조 ~ 2조 개의 토큰 사용 대화/텍스트 생성 LLM 종류 Open Source : BlenderBot, Galactica, LlaMa, Llama-2, Code Llama (FAIR), Mistral-7B, Mixtral-4x7 B (Mistral), Falcon (UAE), Alpaca (Stanford), Yi (01.AI), OLMo (AI2), Gemma (Google) Proprietary : Meta A..
· Routine
Yann Lecun | Objective-Driven AI: Towards AI systems that can learn, remember, reason, and plan Yann Lecun, 프랑스계 미국 CS 석박으로 Deep Learning의 아버지 3명 중 한 명이다. CMSA는 하버드에서 수학, 과학을 주제로 다루는 연구 센터이다. 여기서 Yann은 AI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설명하며 자신이 생각하는 AGI의 필수 요소를 learn, remember, reason, plan으로 소개했다. 배우고 기억하고 이해하고 설계(목표를 위해 실행) 본 글은 강의의 도입부를 정리함. Machine Learning sucks! 머신러닝은 생각보다 구리다. 동물과 인간 아주 적은 task(행동)으로 새로운..
· Routine
304 Not Modified 클라이언트 리디렉션 응답 코드 304 Not Modified 는 요청된 리소스를 재전송할 필요가 없음을 나타낸다. 캐시된 자원으로의 암묵적인 리디렉션이다. 이는 GET이나 HEAD 요청처럼 요청 방법이 안전한 경우 또는 요청이 조건부로 If-None-Match 또는 If-Modified-Since 헤더를 사용할 때 응답 된다. 간혹 서버에 필요 없는 header나 body가 포함되어 있거나 https 주소에 http로 요청할 때 발생
· Routine
윈도우에서 가상환경인 WSL을 올리고 WSL에서 서비스 중인 포트를 외부로 보내려면 두 단계에 거처 밖으로 나가게 된다. Network : 집 밖으로 나가는 문이라고 보면 된다. 반대로 집으로 들어오는 문이기도하고 대부분의 가정에서 SKT, KT 등 모댐을 사용해 연결한다. OS Window 표시는 집으로 들어와 있는 컴퓨터로 사용중인 내부망이다. iptime 관리자를 통해 쉽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WSL의 주소는 임의로 바뀌게 되어 있다. 따라서 컴퓨터 종료 후 다시 설정을 해야하는데 최근 WSL이 대중화 되면서 2년 전부터 자동으로 고정하는 방법 외부에서 접속하는 포트 포워딩 방법, GPU 까지 다양하게 지원한다. 결국 WSL 서비스가 밖으로 나가려면 WSL 서버에서 개방 Window에서 개방 ..
· Routine
한국 https://overseas.mofa.go.kr/lk-ko/brd/m_2380/view.do?seq=1346924 2023년 윤석열 대통령 신년사 상세보기|공지사항주스리랑카 대한민국 대사관 이전 자동재생 정지 다음 오늘 하루 이 창 닫기 팝업 닫기 overseas.mofa.go.kr ChatGPT4 요약 경제 상황 평가: 대통령은 2022년의 세계 경제가 복합위기와 불확실성 속에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언급했습니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 문제와 원자재 가격 급등, 물가 상승 등이 주요 이슈였음을 지적했습니다. 그는 세계 경제가 경기침체의 가능성에 직면해 있으며 이것이 한국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경제 정책 및 대응: 대통령은 물가 상승 억제를 위한 금리 인상 조치와 과도한 가계..
· Routine
Cadence Formula : C = S / T C : 보폭 횟수(분당 걸음 수) S: 총 걸음 수 T: 총 걸린 시간(분) 러닝 보폭 횟수를 계산하려면 총 걸음 수를 총 분 수로 나눕니다. 이렇게 하면 분당 걸음 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케이던스란 무엇인가?(케이던스(cadence) 정의) 러닝에 있어서의 보폭 횟수는 러너가 이동할 때의 시간당 걸음 수율을 말합니다. 보폭 횟수는 또한 자전거 속도에 비례하여 페달 운동의 비율을 기술하는 데 사용됩니다. 권장 케이던스 장거리 주자들, 즉 한 마일 이상의 거리를 달리는 주자들은 보통 분당 150걸음보다 많은 보폭 횟수를 목표로 합니다. 일부는 190-200에 가까운 고보폭 횟수를 달성합니다. 그들은 그들의 보폭 길이를 줄임으로써 이러한 높은 보폭 횟수에..
· Routine
"문자열의 이스케이프 시퀀스가 잘못됨" + Latex Escape Letter 오류 $z = \mu + \epsilon\sigma$ 바로 Backslash가 JavaScript의 escape 문자로 Google Search Console 크롤러가 \mu를 함수로 인식해 생기는 오류이다. 처음에 JavaScript를 잘 몰라 latex로 쓰고 캡쳐해서 포스팅하다. Escape 문자 해결 방법을 찾았다. https://docs.mathjax.org/en/v2.1-latest/tex.html MathJax TeX and LaTeX Support — MathJax 2.1 documentation The support for TeX and LaTeX in MathJax consists of two parts: t..
다했다
'Routine' 카테고리의 글 목록